본문 바로가기
Context : Characters

[군웅편 삼국정립 이전, 후한 말 군웅과 몰락한 영웅들] The Tumult Before the Three Kingdoms

by True.J 2025. 4. 22.
반응형

반통탁연합군(190) - 관도대전(220)

Alt 삼국지 - 군웅 전기
Alt 삼국지 - 군웅 전기

 

 

  • 동탁(董卓)
    • 한줄평: "후한 말 권력을 휘두른 폭군"
    • 자(字): 중영(仲穎)
    • 장점: 뛰어난 무력, 과감한 결단력 (초기)
    • 단점: 포악함, 탐욕, 무능, 여색 탐닉
    • 특이사항: 헌제 옹립, 낙양 방화, 여포를 양아들로 삼음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여포(呂布)
    • 한줄평: "천하무쌍의 용맹을 자랑한 변덕스러운 장수"
    • 자(字): 봉선(奉先)
    • 장점: 뛰어난 무예, 빠른 기동력
    • 단점: 잦은 배신, 탐욕, 우유부단함, 간계에 약함
    • 특이사항: 삼부자라 불릴 정도로 여러 주인을 섬김 (정원, 동탁, 왕윤 등)
    • 세력이동: 정원 → 동탁 → 왕윤 → 독립 세력 → 유비 → 조조
  • 원소(袁紹)
    • 한줄평: "강력한 세력을 가졌으나 결단력이 부족했던 군웅"
    • 자(字): 본초(本初)
    • 장점: 명문가 출신, 넓은 인맥, 많은 인재 보유
    • 단점: 우유부단함, 아랫사람의 의견을 제대로 듣지 않음, 질투심
    • 특이사항: 반동탁 연합군의 맹주, 관도대전에서 조조에게 대패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원술(袁術)
    • 한줄평: "황제를 자칭했던 야심가"
    • 자(字): 공로(公路)
    • 장점: 한때 강력한 군사력 보유
    • 단점: 사치, 오만, 무능, 백성 수탈
    • 특이사항: 스스로 황제를 칭하며 몰락의 길을 걸음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유표(劉表)
    • 한줄평: "형주를 안정적으로 다스렸던 군벌"
    • 자(字): 경승(景升)
    • 장점: 학자 중용, 비교적 안정적인 통치, 백성을 아낌
    • 단점: 소극적인 확장 정책, 우유부단함, 후계자 문제
    • 특이사항: 채씨 일족의 발호 허용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도겸(陶謙)
    • 한줄평: "유비에게 서주를 맡긴 인덕의 군주 (평가 상반됨)"
    • 자(字): 겸공(謙恭)
    • 장점: 유비를 후대, 백성을 아끼는 마음 (일부 평가)
    • 단점: 우유부단함, 부하 관리 소홀 (조조에게 서주 침략 빌미 제공)
    • 특이사항: 병으로 위독했을 때 유비에게 서주를 맡김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공손찬(公孫瓚)
    • 한줄평: "백마의종을 이끌었던 북방의 군웅"
    • 자(字): 백규(伯珪)
    • 장점: 용맹, 뛰어난 기병 운용 능력 (백마의종)
    • 단점: 강압적인 성격, 주변과의 불화
    • 특이사항: 원소와의 패권 다툼에서 패배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유요(劉繇)
    • 한줄평: "손책에게 강동을 빼앗긴 유약한 군주"
    • 자(字): 정례(正禮)
    • 장점: 명문가 출신, 비교적 온화한 성격
    • 단점: 유약함, 결단력 부족, 간신에게 휘둘림
    • 특이사항: 손책에게 연이어 패배하여 강동을 잃음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장수(張繡)
    • 한줄평: "가후의 조언을 따랐던 군벌"
    • 자(字): 추안(鄒安)
    • 장점: 상황 판단 능력, 가후의 조언을 잘 따름
    • 단점: 조조와의 잦은 대립
    • 특이사항: 조조의 숙모와 사통하여 조조의 분노를 삼
    • 세력이동: 독립 세력 → 유표 → 조조
  • 채옹(蔡邕)
    • 한줄평: "당대 최고의 학자이자 서예가"
    • 자(字): 백개(伯喈)
    • 장점: 뛰어난 학문, 서예, 음악적 재능
    • 단점: 강직한 성격으로 화를 자초
    • 특이사항: 동탁에게 중용되었으나 동탁 사후 왕윤에게 처형당함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동탁
  • 왕윤(王允)
    • 한줄평: "미인계로 동탁을 제거하려 했던 충신"
    • 자(字): 자사(子師)
    • 장점: 충성심, 뛰어난 계략 (미인계)
    • 단점: 강직함, 동탁 잔당에 대한 안일한 대처
    • 특이사항: 초선을 이용하여 동탁과 여포 사이를 이간질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
  • 이각(李傕)
    • 한줄평: "동탁 사후 조정을 혼란에 빠뜨린 장수"
    • 자(字): -
    • 장점: 용맹 (초기)
    • 단점: 탐욕, 포악, 무능
    • 특이사항: 곽사와 함께 헌제를 협박하고 전횡을 일삼음
    • 세력이동: 동탁 → 독립 세력
  • 곽사(郭汜)
    • 한줄평: "이각과 함께 조정을 장악했던 장수"
    • 자(字): -
    • 장점: 용맹 (초기)
    • 단점: 탐욕, 포악, 무능
    • 특이사항: 이각과 함께 헌제를 협박하고 전횡을 일삼음
    • 세력이동: 동탁 → 독립 세력
  • 장막(張邈)
    • 한줄평: "한때 조조와 협력했으나 배신한 군벌"
    • 자(字): 맹고(孟高)
    • 장점: 넓은 인맥, 의협심 (일부 평가)
    • 단점: 우유부단함, 조조에 대한 오판
    • 특이사항: 조조가 서주를 공격하는 틈을 타 여포를 맞아들임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조조 → 여포
  • 진궁(陳宮)
    • 한줄평: "조조를 배신하고 여포를 섬긴 모사"
    • 자(字): 공대(公臺)
    • 장점: 뛰어난 지략, 강직한 성품, 의리
    • 단점: 주군을 제대로 간택하지 못함
    • 특이사항: 조조를 죽이려 했으나 실패, 여포를 충실히 보좌
    • 세력이동: 조조 → 여포
  • 엄백호(嚴白虎)
    • 한줄평: "강동의 군벌, 손책에게 패배"
    • 자(字): 백호(伯虎)
    • 장점: -
    • 단점: 무능, 백성의 지지를 얻지 못함
    • 특이사항: 동생 엄여와 함께 손책에게 패배하여 도주
    • 세력이동: 독립 세력
  • 왕랑(王朗)
    • 한줄평: "유력한 학자 출신 군벌, 손책에게 패배"
    • 자(字): 경흥(景興)
    • 장점: 뛰어난 학문, 명망
    • 단점: 군사적 능력 부족, 상황 판단 미숙
    • 특이사항: 손책에게 패배 후 조조에게 귀순 (관도대전 이전)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 → 조조
  • 유우(劉虞)
    • 한줄평: "온화한 성품으로 백성을 다스렸던 유주목"
    • 자(字): -
    • 장점: 인자함, 백성을 아낌, 명망
    • 단점: 우유부단함, 공손찬에 대한 안일한 대처
    • 특이사항: 공손찬에게 살해당함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
  • 공융(孔融)
    • 한줄평: "명문가 출신으로 학문이 뛰어났던 인물"
    • 자(字): 문거(文舉)
    • 장점: 뛰어난 학문, 변론 능력, 명망
    • 단점: 현실 정치에 어두움, 조조와 대립
    • 특이사항: 조조를 비판하다 처형당함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독립 세력
  • 장초(張超)
    • 한줄평: "장막의 동생, 조조를 배신하고 여포를 지지"
    • 자(字): 맹고(孟高) (형과 동일)
    • 장점: -
    • 단점: 형과 함께 조조를 배신
    • 특이사항: 형과 함께 조조에게 대항하다 죽음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조조 → 여포
  • 교모(橋瑁)
    • 한줄평: "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했던 제후"
    • 자(字): 원위(元偉)
    • 장점: -
    • 단점: -
    • 특이사항: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했으나 이후 행적은 뚜렷하지 않음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반동탁 연합군
  • 포신(鮑信)
    • 한줄평: "조조를 돕다 전사한 의로운 인물"
    • 자(字): -
    • 장점: 의협심, 통찰력, 조조를 지지
    • 단점: -
    • 특이사항: 황건 잔당 토벌 중 전사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 → 조조
  • 변양(邊讓)
    • 한줄평: "문학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조조에게 처형당한 인물"
    • 자(字): 문례(文禮)
    • 장점: 뛰어난 문학적 재능, 명망
    • 단점: 강직한 성격으로 조조를 비판
    • 특이사항: 조조에게 처형당함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
  • 정원(丁原)
    • 한줄평: "여포의 첫 번째 주군"
    • 자(字): 건양(建陽)
    • 장점: 강직함, 여포를 휘하에 둠
    • 단점: 동탁의 계략에 넘어감
    • 특이사항: 동탁의 유혹에 넘어간 여포에게 살해당함
    • 세력이동: 후한 조정
  • 저수(沮授)
    • 한줄평: "원소의 뛰어난 모사, 정확한 계책을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"
    • 자(字): -
    • 장점: 뛰어난 전략적 안목, 충성심
    • 단점: 강직한 성격으로 원소에게 중용받지 못함
    • 특이사항: 관도대전에서 조조에게 포로로 잡힘
    • 세력이동: 원소
  • 전풍(田豐)
    • 한줄평: "강직한 성품의 원소 휘하 모사, 간언을 하다 옥에 갇힘"
    • 자(字): 원호(元皓)
    • 장점: 뛰어난 통찰력, 강직한 성품
    • 단점: 직언을 서슴지 않아 원소의 노여움을 삼
    • 특이사항: 관도대전에서 조조의 승리를 예측
    • 세력이동: 원소
  • 심배(審配)
    • 한줄평: "원소에게 충성을 다한 강직한 모사"
    • 자(字): 정남(正南)
    • 장점: 강직함, 뛰어난 수비 능력
    • 단점: 융통성 부족
    • 특이사항: 업성 방어전에서 끝까지 저항하다 조조에게 처형당함
    • 세력이동: 원소
  • 봉기(逢紀)
    • 한줄평: "원소 휘하의 모사, 간사한 면모를 보임"
    • 자(字): 원도(元圖)
    • 장점: 모략에 능함, 원소의 총애를 받음
    • 단점: 간사함, 아첨
    • 특이사항: 전풍과 저수를 모함
    • 세력이동: 원소
  • 허유(許攸)
    • 한줄평: "원소의 모사였으나 조조에게 귀순하여 관도대전 승리에 기여"
    • 자(字): 자원(子遠)
    • 장점: 뛰어난 계략, 상황 판단 능력
    • 단점: 탐욕, 오만, 입이 가벼움
    • 특이사항: 관도대전에서 오소 방어의 허점을 알려 조조의 승리에 결정적 기여
    • 세력이동: 원소 → 조조

2025.04.22 - [Context : Characters] - [군웅편 삼국정립 이후, 삼국 밖의 사라진 이름들] In the Shadows of Thrones

반응형